글래스-스티걸법
[Glass-Steagall Act]미국이 은행들로 하여금 상업은행이나 투자은행 업무 중 하나만 할 수 있도록 한 법. 미국은 1933년 대공황 당시인 대공황 위기의 원인 중 하나가 상업은행과 투자은행 업무의 겸업에 있다고 판단하고 이 법을 도입했다.
예금을 받는 은행(상업은행)과 못 받는 은행(투자은행)으로 나눠 상업은행의 파산 등에도 예금을 세금으로 일부 보호하는 대신 투자은행처럼 다양한 채권·주식 등 금융상품을 자유롭게 소비자에게 판매하거나 직접 투자할 수 없게 한 것이다.
이 법은 1960년대부터 조금씩 힘을 잃었다. 1990년대 들어 은행과 투자회사의 벽이 점차 허물어지면서 건실한 은행들은 투자회사를 자회사로 설립할 수 있게 됐다. 월가의 적극적인 로비와 규제완화바람을 타고 빌클린턴 정부 때인 1999년 금융회사의 겸업을 다시 허용하는 ‘금융서비스현대화법(그램리치 블라일리 법:Gramm-Leach-Bliley Act)’이 만들어지면서 글래스-스티걸법은 공식적으로 폐지됐다.
그러나 그 이후 금융사들은 저마다 고수익상품 투자에 뛰어들었으며 이게 2008년 경제위기를 야기시킨 주 원인의 하나로 지목되면서 글래스 스티걸법이 다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대두 됐다.
-
국제자금세탁방지기구[Financial Action Task Force on Money Laundering, FATF]
1989년 G7정상회의 합의에 따라 설립한 국제기구로 자금세탁 방지 및 테러리스트들의 자금...
-
기능점수[function point]
소프트웨어(SW) 개발의 성과물을 기능단위로 정량 측정하는 방식을 말한다. 기능점수는 사용...
-
곱버스
'곱하기+인버스'를 줄인말. 주가지수가 하락할 때 수익을 주는 상품인 '인버스'의 가격변동...
-
공기저항계수[drag coefficient]
Cd로 표시되는 자동차의 공기저항계수는 수치가 낮을수록 차의 연비, 최고 속도, 조종 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