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본자본비율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은행의 자기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눈 백분율''이다. 이때 자기자본은 ''기본자본(Tier 1)''과 ''보완자본(Tier 2)''의 합계액이다. 기본자본은 자본금 내부유보금 등 실질순자산으로 영구적 성격을 지닌 반면 ''보완자본''은 후순위채권 하이브리드채권 등 부채 성격을 지닌 자본을 말한다. 보완자본을 뺀 기본자본을 위험가중자산으로 나눠 산출한 지표가 바로 기본자본비율이다. 통상 자기자본비율은 10% 이상,기본자본비율은 8% 이상이면 우량은행으로 평가된다.

  • 개인가처분소득대비 금융부채 비율

    가계가 지출할 수 있는 소득으로 금융부채를 갚는 능력을 나타내는 비율. 이 비율이 상승했다...

  • 국가경쟁력

    국가경쟁력은 한 나라의 총체적인 경제적 수준을 의미한다. 그래서 사회간접자본과 같은 경제의...

  • 경영자본영업이익률[operating income to business capital]

    기업에 투하된 자본은 경영활동에 직접 사용되는 자본과 직접 사용되지 않는 자본으로 구분된다...

  • 강제성 채권[Mandatory Bonds]

    강제성 채권은 국민이 부동산 등기, 자동차 등록, 아파트 분양, 각종 인허가를 받을 때 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