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생활임금

[living wage]

물가상승률과 가계소득·지출을 고려한 실제 생활이 가능한 최소 수즌의 임금. 실제 생활이 가능한 임금이라는 의미다. 따라서 기존 최저 임금보다 20~30% 높다. 1994년 미국 볼티모어시에서 처음 도입했다.

우리나라에서는 경기 부천시와 서울 노원구 및 성북구가 2013년 처음 도입했다. 생활임금은 물가상승률과 지역별 가계 소득·지출 등을 감안해 각 지자체가 산정한다. 상위법에 근거가 없으며 각 지방자치단체가 조례를 제정해 적용하고 있다.

관련어

  • 상투

    주가변동의 폭이 상하로 심하게 나타날 때, 가장 고가권의 주가수준을 상투라고 하고상투에서 ...

  • 신외부감사법[신외감법]

    회계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2018년 11월부터 시행한 외부감사법 개정안을 말한다. 주...

  • 수소화효소[Hydrogenase, H2ase]

    미생물의 광합성 작용시 발생되는 proton (H+)을 합성하여 수소를 생산하는 효소

  • 수능등급

    성적표에 표기된 영역별.선택과목별 표준점수를 1~9등급으로 나눠 나타낸 것이다. 표준점수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