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경위기시계

[Environmental Doomsday Clock]

환경전문가들이 환경 파괴에 따른 인류 생존의 위기감을 시간으로 표시한 것.

우리나라 환경단체인 환경재단과 일본의 아사히글래스재단(The Asahi Glass Foundation)이 ‘리우 환경회의’가 열린 1992년부터 전 세계의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비정부기구(NGO), 학계, 기업 등의 환경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해 발표해 오고 있다.

환경위기시계가 0∼3시이면 ‘좋음’을 나타내며 3∼6시는 ‘불안’, 6∼9시는 ‘심각’, 9∼12시는 ‘위험’한 상태를 뜻한다. 1992년 7시 49분이었던 환경위기시계는 1997년 9시 4분, 2007년 9시 31분 그리고 2020년 9시 47분으로 "위험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 해상선하증권[marine bills of lading, ocean bills of lading]

    해상선하증권은 운송인 또는 그 대리인이 해상운송을 위하여 물품의 본선 적재 또는 수취를 증...

  • 홀로토모그래피[Holotomography]

    컴퓨터단층촬영(CT)으로 인체를 보듯 세포를 볼 수 있는 현미경

  • 황색거래처

    부실 금융거래자 등급의 일종. 금융기관들은 대출금·카드대금 연체를 비롯해 어음·수표 부도 ...

  • 하우스 에이전시[house agency]

    광고 대행사 가운데 특정 광고주의 자본하에 있는 것으로 그 기업의 경영지배를 받는 일종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