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해상선하증권

[marine bills of lading, ocean bills of lading]

해상선하증권은 운송인 또는 그 대리인이 해상운송을 위하여 물품의 본선 적재 또는 수취를 증명하는 유가증권을 말한다. 여기서 운송인이란 선박을 소유하고 해상운송계약을 자기 스스로 이행할 책임을 부담하는 자를 말한다. 대리인이란 운송인을 대신해서 해상운송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자를 말한다.

해상선하증권은 화물이 본선 적재 또는 수취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이기 때문에 화물이 본선 적재된 상태에서도 발행될 수 있고 화물이 수취된 상태에서도 발행될 수 있다. 선하증권은 화물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는 증권이므로 반드시 선하증권을 제시해야 물품을 인도받을 수 있다. 해상선하증권의 종류로는 선적선하증권, 수취선하증권, 본선적재 선하증권, 운송중개인 선하증권, 용선계약 선하증권, 통과선하증권 등이 있다.

  • 행동주의 헤지펀드[activist hedge fund]

    특정 기업 지분을 매입한 뒤 배당 확대나 자사주 매입, 인수합병(M&A), 재무구조 개선,...

  • 화학증착기

    가스를 이온화하여 화학반응을 통해 막을 입히는 장치를 말한다.

  • 화이트 리스트제도

    각각의 휴대폰에 부여된 고유식별번호인 국제단말기인증번호(IMEI)를 이동통신사가 관리하고 ...

  • 한국성장금융투자운용[K-Growth]

    국내 중소·벤처기업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2016년 2월 설립된 주식회사. 정책펀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