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해상선하증권

[marine bills of lading, ocean bills of lading]

해상선하증권은 운송인 또는 그 대리인이 해상운송을 위하여 물품의 본선 적재 또는 수취를 증명하는 유가증권을 말한다. 여기서 운송인이란 선박을 소유하고 해상운송계약을 자기 스스로 이행할 책임을 부담하는 자를 말한다. 대리인이란 운송인을 대신해서 해상운송계약을 체결할 수 있는 자를 말한다.

해상선하증권은 화물이 본선 적재 또는 수취되었음을 증명하는 서류이기 때문에 화물이 본선 적재된 상태에서도 발행될 수 있고 화물이 수취된 상태에서도 발행될 수 있다. 선하증권은 화물에 대한 권리를 갖고 있는 증권이므로 반드시 선하증권을 제시해야 물품을 인도받을 수 있다. 해상선하증권의 종류로는 선적선하증권, 수취선하증권, 본선적재 선하증권, 운송중개인 선하증권, 용선계약 선하증권, 통과선하증권 등이 있다.

  • 한국배당주가지수[Korea Dividend Stock Price Index, KODI]

    일정수준이상의 수익성(자기자본이익율), 시장대표성(시가총액), 유동성(거래대금)이 있는 종...

  • 하비홀릭[hobbyholic]

    인터넷을 통해 게임이나 취미 등의 특정 분야에 대한 집중적이고 깊이 있는 정보교류가 활성화...

  • 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Korea Corporate Governance Fund, KCGF]

    지배구조가 모범적인 우량 기업에 투자하는 ''사회책임투자(SRIㆍSocial Respons...

  • 한국경제인협회[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FKI]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 발전을 위해 올바른 경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