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대형 강입자가속기

[Large Hadron Collider, LHC]

입자를 거의 빛의 속도에 가깝게 가속시켜 맞부딪히는 물리학 실험장치. 유럽입자물리연구소 (CERN)가 총 100억 달러를 들여 스위스 제네바와 프랑스 국경지대 지하 100m에 총 길이 27㎞의 강입자가속기를 건설해 2010년초부터 가동을 시작했다. LHC의 목표는 인류가 입자 중에서 유일하게 확인하지 못한 힉스(Higgs Boson)를 찾는 것. 힉스는 물체에 질량을 주는 입자로 우주가 탄생하던 빅뱅 당시에는 입자로 존재했지만 지금은 물질 속에 숨겨져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국제연구진으로 구성된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는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 지대에 길이 27㎞의 거대 강입자가속기(LHC)를 구축하고 초미니 ‘빅뱅’을 일으키는 실험을 거듭해 2013년 3월 힉스입자의 존재를 입증했다.

관련어

  • 디톡스 경제[Detox economy]

    디톡스 경제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추진하는 경제 정책 방향을 설명하는 개념으로,...

  • 덕용상품

    값에 비하여 쓰기에 편하고 이익이 많은 상품을 말한다. 1994년말 등장한 프라이스 클럽,...

  • 도파밍[Dofarming]

    도파밍(Dofarming)은 뇌의 쾌락 물질 도파민(Dopamine)과 게임 용어 파밍(F...

  • 도시첨단산업단지

    도시 인근에 정보기술(IT) 바이오기술(BT) 등 첨단산업과 관련된 용지를 공급하기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