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목적세

[objective tax]

세금징수 단계에서부터 재원의 사용처를 미리 정해놓은 세금을 말한다. 정부의 세입과 세출은 곧바로 연결시키지 않고 세입을 일단 국고에 집중시켰다가 우선순위에 따라 지출되는 게 원칙이다. 그러나 특정 사업부문을 지원하기 위한 재원을 장기·안정적으로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세원별로 지출처를 미리 정해놓을 수 있다. 이러한 세금이 목적세다. 목적세는 국가방위나 교육 등 특정 부문에 세금을 사용한다는 점을 내세워 세목을 신설할 때 국민을 설득하기 쉽다는 이점이 있다.

반면 투자우선순위에 따른 예산배정이 제한받고 조세체계를 왜곡시키는 등의 부작용도 갖고 있다. 가능한 한 목적세 운용을 억제하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다. 우리나라에서는 월남 패망 직후인 1976년에 방위세가 처음 도입됐으며 1980년엔 교육세가 신설됐다. 이후 1990년에 방위세는 폐지되고 교육세는 5년 시한이 없어졌다. 정부는 사회간접시설(SOC) 건설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휘발유 등 유류에 대한 특별소비세의 목적세 전환을 추진하고 있다.

  • 미국 투자이민[Employment-Based Immigration-5, EB-5]

    EB-5는 취업이민의 한 종류이지만 미국인 고용주가 있어야 가능한 취업이 아닌, 본인의 자...

  • 물가안정실업률[Non-accelerating Inflation Rate of Unemployment, NAIRU]

    물가상승을 가속화시키지 않는 실업률을 말한다. 적정성장률을 넘어서는 과열성장은 인플레를 유...

  • 모바일 디바이드[moblie divide]

    스마트폰이 확산되면서 스마트폰 보유 유무에 따른 정보 격차가 심화되는 현상. 스마트폰 보유...

  • 마더스

    도쿄증권거래소가 운영하는 신흥기업용 주가지수. 1999년 11월 11일 만들어졌고 토픽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