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준금리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 각종 금리의 기준이 된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국내 실물경제와 외환시장 등이 영향을 받는다. 은행에선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비용이 상승해 대출금리를 올린다.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이나 개인은 자금 조달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금 수요를 줄인다.

대출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부동산이나 기타 분야 투자가 감소하면서 부동산 및 주식 가격 하락에 영향을 주고 민간 소비도 감소한다. 해외 기준금리 인상은 해외 자본의 국내 유입을 확대해 환율이 하락(원화가치 상승)한다. 이는 수출 감소 및 수입 증가로 이어져 순수출이 줄어든다.
해외 자본이 외환시장으로 유입돼 국내 통화 가치가 상승한다.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콜금리가 기준금리역할을 해왔으나 2008년 3월부터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금리를 기준으로 하는 ‘한은 기준금리제’를 도입해 시행하고있다. 한국은행이 일주일에 한번(매주 목요일)씩만 시장에서 7일만기 RP를 팔 때 적용한다. RP란 일정기간 뒤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되사는 조건으로 판매하는 채권으로 금융회사들은 한국은행이 끼어들지 않는 일주일 간 금리변동 위험을 안은 채 RP거래를 한다. 한편 미국은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를, 일본은 콜금리(1일물 overnight call rate)를 각각 기준금리로 활용하고 있다.

  • 기후변화협약[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

    기상이변, 사막화, 해수면상승 등을 유발하는 지구온난화 현상을 방지하기 1992년 6월 리...

  • 경기선행지수

    경기선행지수는 3-6개월 후의 경기흐름을 가늠하는 지표로 지수가 전월보다 올라가면 경기상승...

  • 금융공학[financial engineering]

    수학적 방법론을 이용해 금융시장을 분석하거나 투자처를 결정하는 학문분야로 금융(financ...

  • 검사인[inspector]

    회사 업무와 재산 상태를 조사하는 임시 직무로 상법 367조에 근거를 두고 있다. 회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