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택구입능력지수

[House Affordability Index, HAI, K-HAI]

중간소득 근로자가 중간가격대 아파트를 구입할 때 대출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지수. 주택을 구입하기 위해 표준 조건의 대출을 이용할 경우, 월소득으로 원리금을 상환할 수 있는가를 나타낸다. 이 지표가 100을 넘으면 상환이 쉽고, 100 미만이면 원리금 상환이 어렵다는 의미다. HAI = 연평균 가구소득 ÷ 대출 상환요구소득 × 100 (기준치 100). 주택구입능력지수에는 ‘K-HAI’라는 지표도 있다. 이는 주택금융공사가 2008년도에 캐나다 방식의 HAI(Housing Affordability Index) 개념을 적용,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개발한 지수이다. HAI와 달리 수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에 대한 부담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 지속가능연계차입[sustainability-linked loan, SLL]

    은행이 돈을 빌리는 기업의 대출금리를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목표 이행 정도에 연...

  •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자신만의 이익을 위한 선택이 자신과 상대 모두에게 불리한 결과를 낳는 상황을 뜻한다. ...

  • 지역균형선발제

    대학 신입생 선발시 지역간 불균형 현상을 바로잡기 위해 특정 지역에 혜택을 주는 제도. 교...

  • 제휴카드

    종래 물품구매 기능만 있던 신용카드의 기능에 신분들이나 각종 회원증 기능이 추가돼여러가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