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성 채권
각종 등기나 인·허가, 면허 등록 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과 도급계약을 체결할 때 의무적으로 사야 하는 채권.
국채인 국민주택채권 제1·2종을 비롯해 지방채인 서울·대구·인천·광주 등의 도시철도채권, 특수채인 토지개발채권·공공용지보상채권 등 9종이 대표적인 강제성채권이다. 일반인들은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20년 만기 국민주택채권 제2종(3% 복리)을, 차량등록 때는 5∼9년 만기의 도시철도채권(6% 복리)을 매입해야 한다.
관련어
- 참조어준조세
-
개발수입[import for development]
개발수입은 원자재 주산국에 자금과 기술을 제공하고 원자재를 재배, 생산, 개발하여 원금 상...
-
금산법
''금융회사의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안의 줄임말. 산업자본의 금융자본의 지배를 막...
-
그레이트배링턴 선언
2020년 10월 일부과학자들이 '고령층 등 취약계층은 코로나19로부터 보호하고 사망위험이...
-
그린 댐[Green Dam]
2009년 7월 1일부터 중국 내에서 판매되는 모든 PC에 음란물 필터링(filte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