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성 채권
각종 등기나 인·허가, 면허 등록 때, 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또는 공공기관과 도급계약을 체결할 때 의무적으로 사야 하는 채권.
국채인 국민주택채권 제1·2종을 비롯해 지방채인 서울·대구·인천·광주 등의 도시철도채권, 특수채인 토지개발채권·공공용지보상채권 등 9종이 대표적인 강제성채권이다. 일반인들은 아파트를 분양받을 때 20년 만기 국민주택채권 제2종(3% 복리)을, 차량등록 때는 5∼9년 만기의 도시철도채권(6% 복리)을 매입해야 한다.
관련어
- 참조어준조세
-
개인자산관리계좌[Individual Wealth Account, IWA]
가입자들이 계좌 내에 예금, 보험, 펀드 등 다양한 금융권역의 상품을 담을 수 있는 일종의...
-
공시위반[disclosure violation]
공시위반은 상장회사가 자본시장법 또는 거래소 규정에 따라 의무적으로 공시해야 할 정보를 허...
-
기세[quote, quotation]
증권시장에서 매매계약이 성립되지 않았을 때의 호가를 말한다. 매도호가의 경우에는 바로 전의...
-
교환사채[Exchangeable bond, EB]
발행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다른 기업의 주식과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사채를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