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취업취약계층

 

소득기준에 의해 사회서비스 구매능력이 부족한 저소득층과 노동시장 여건상 취업하기 어려운 취업취약계층을 말한다.

가구 월 평균소득이 전국 가구 월 평균소득의 100분의 60 이하인 저소득층, 55세 이상의 고령자, 장애인, 실업기간 6개월 이상의 장기실업자, 신용불량자, 노숙자 등이 이에 속한다.

고용노동부가 발간한 '2018년 직접일자리사업 합동지침'에 따르면 취업취약계층의 전체 대상은 다음과 같다.

1. 저소득층(기준 중위소득 65%이하, 단, 1인 가구는 120% 이하)
2. 장애인
3. 6개월 이상(구직신청일 기준) 장기실직자(청년은 최근 6개월 이내 교육기관 재학생이 아니면서 사업자에 고용된 사실도 없는자)
4. 결혼이민자
5. 북한이탈주민
6. 위기청소년
7. 여성가장
8. 성매매 피해자
9. 한부모가족 지원법에 의한 보호대상자
10. 갱생보호대상자
11. 수형자로서 출소 후 6개월 미만 자
12. 노숙자

관련어

  • 추곡수매제도

    추곡의 수급조절을 통해 가격을 안정시키고 농가소득 보장 및 소비자 가계보호를 위해 정부가 ...

  • 최종 재화와 서비스

    빵에 들어가는 밀가루나 설탕처럼 다른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해 들어가는 ‘중간재’가 ...

  • 최고법률책임자[Chief Legal Officer, CLO]

    기업의 최고 법률 책임자. 적대적 인수·합병(M&A) 및 특허 관련 국제 소송이 증가하고,...

  • 청약통장1순위

    2017년 9월 청약제도 개편 이후 투기과열지구와 조정대상지역에서는 1순위 자격 요건이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