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인터넷 실명제

 

인터넷으로 글이나 자료를 올릴 때 반드시 본인의 실명과 주소를 사용토록 하는 제도로,인터넷의 부작용인 흑색선전이나 사이버 테러를 막기 위한 것이다. 2004년 3월 12일 개정 공포된 ''공직선거 및 선거부정방지법''에 처음으로 규정됐다. 2007년 7월부터 하루 방문자 수가 20만~30만명이 넘는 언론사와 포털사이트에만 ''인터넷 실명제''를 적용하는 이른바 ''제한적 본인확인제''가 실시되고 있다.

  • 이주자택지

    정부(토개공,지자체등)가 특정지역을 개발할 때, 대상 지역의 토지를 수용하게 된다. 이때 ...

  •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

    위치기반서비스는 유 · 무선 통신망을 통해 획득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이용자에게 다양한 콘...

  • 임시직[temporary workers]

    특정 사업을 위해 고용된 단순 업무 근로자 또는 보조원으로 퇴직금이나 상여금의 혜택이 없다...

  • 에너지 수입의존도[dependence of energy on overseas]

    1차에너지 공급량에서 순수입 에너지의 비중을 뜻한다. 국내 수입의존도는 1차에너지 소비중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