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소득대체율

[Retirement income replacement rate]

연금액이 개인의 생애평균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 연금가입기간 중 평균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금액대비 연금지급액이다.

월연금 수령액을 연금 가입기간의 월평균 소득으로 나눠 구한다. 연금의 보장성을 보여주는 지표이며, 국민연금은 40년을 기준으로 소득 대체율을 정한다.

소득대체비율이 50%이면 연금액이 연금 가입기간 평균 소득의 절반 정도 된다는 의미다.

OECD는 안정적인 노후를 위한 적정 소득대체율을 65∼75%로 권고한다.

2023년 7월 11일 국제보험협회연맹(GFIA)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연금 소득대체율은 47%에 불과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권고치 대비 20%포인트 이상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상품별로 보면 국민연금이 26%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퇴직연금이 12%, 개인연금이 9%였다.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은 OECD 권고 수치(25∼30%)에 부합했으나 퇴직연금(20∼30%), 개인연금(10∼15%)이 권고에 미달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81.3%로 가장 높았고, 프랑스가 60.2%로 뒤를 이었다. 독일(55.7%)과 일본(55.4%)이 50%를 넘겼고 영국도 49%로 한국보다 높았다.

관련어

  • 선택진료

    환자 또는 보호자가 특정한 의사를 선택해 진료받는 행위. 의료법(제37조2항)은 병원이 특...

  • 시스템 리스크[systemic risk]

    금융시스템 전체가 부실화될 위험을 의미한다. 개별 금융회사가 부실화될 경우 시스템리스크를 ...

  • 사스[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 SARS]

    2002년말 중국에서 발생한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감염시 고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증...

  • 소셜토큰[social token]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한 가치 네트워크를 토큰화한 것. 연예인, 아티스트, 스포츠스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