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대체율
연금액이 개인의 생애평균소득의 몇 %가 되는지를 보여주는 비율. 연금가입기간 중 평균소득을 현재가치로 환산한 금액대비 연금지급액이다.
월연금 수령액을 연금 가입기간의 월평균 소득으로 나눠 구한다. 소득대체비율이 50%이면 연금액이 연금 가입기간 평균 소득의 절반 정도 된다는 의미다. 일반적으로 안락한 노후보장을 위한 소득대체율은 65∼70%라고 알려져 있다.
2019년 10월 현재 국민연금은 현재 소득의 9%를 납부하고 2028년 이후 부터 소득 대체율 40%를 보장하고 있다.
관련어
- 동의어지급률
-
시스템 위기[system crisis]
한 금융기관의 유동성 부족이나 파산이 해당 금융기관에 그치지않고 다른 금융기관들로 파급되어...
-
손실공동분담제도
특정 금융기관의 결제부족자금이 해당 기관의 사전담보금액을 초과할 경우 이 초과금액을 여타 ...
-
살러츠빌 폭력시위
2017년 8월 12일 버지니아주 샬러츠빌에서 극우파 집회에 반대하는 진보단체의 거리 평화...
-
슈퍼 사이클[supe-cycle; commodities super-cycle]
원자재 등 상품시장 가격이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추세. 원자재 가격은 1998년 이후 급격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