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연비

 

지식경제부가 2012년 부터 검사를 받은 엔진을 장착한 차량에 대해 의무적으로 표시하게 한 연비. 구연비는 실제 도로가 아닌 실험실에서 연비를 측정했기 때문에 환경적 요인이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연비보다 떨어진다. 그래서 신연비는 도심·고속도로·고속 및 급가속·에어컨 가동·외부저온조건 등 5가지 상황에서 측정해 ‘복합 연비’를 발표한다. 실제 연비와 가장 가까운 측정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신연비 측정 방식이 도입되면서 연비 등급 기준도 까다로워졌다. 기존에는 15km/L(구연비) 이상이면 1등급을 받았지만 그 기준이 16km/L(신연비)로 올랐다. 구연비로 최소 20km/L 이상이 나와야만 신연비 기준으로 1등급을 받을 수 있다. 모든 차량에 신연비 기준을 적용하려면 2013년 1월 1일이 지나야 한다.

  • 상업투자은행[commercial investment bank]

    예금을 받아 대출해 주는 상업은행과 주식 · 채권 인수 및 자기자본 투자 등을 주로 하는 ...

  • 수능백분위

    전체 수험생의 성적을 최고점부터 최하점까지 순서대로 배열한 뒤 이를 백분율로 나타낸 석차점...

  • 성장의 덫[growth trap]

    경제발전 초기에는 유치 단계의 이점을 누리면서 순조롭게 성장하다가, 어느 순간에 성장이 정...

  • 사이버 망명[cyber asylum]

    인터넷 게시판, 이메일, 메신저 이용자들이 개인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국가기관의 감청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