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신연비

 

지식경제부가 2012년 부터 검사를 받은 엔진을 장착한 차량에 대해 의무적으로 표시하게 한 연비. 구연비는 실제 도로가 아닌 실험실에서 연비를 측정했기 때문에 환경적 요인이 포함돼 있지 않기 때문에 실제연비보다 떨어진다. 그래서 신연비는 도심·고속도로·고속 및 급가속·에어컨 가동·외부저온조건 등 5가지 상황에서 측정해 ‘복합 연비’를 발표한다. 실제 연비와 가장 가까운 측정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신연비 측정 방식이 도입되면서 연비 등급 기준도 까다로워졌다. 기존에는 15km/L(구연비) 이상이면 1등급을 받았지만 그 기준이 16km/L(신연비)로 올랐다. 구연비로 최소 20km/L 이상이 나와야만 신연비 기준으로 1등급을 받을 수 있다. 모든 차량에 신연비 기준을 적용하려면 2013년 1월 1일이 지나야 한다.

  • 순환재개발사업

    재개발을 할 때 이주대책용 아파트를 짓거나 기존 아파트를 임대하는 등 이주주민들의 거주지를...

  • 스크루플레이션[Screwflation]

    물가 상승과 실질임금 감소 등으로 중산층의 가처분 소득이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돌려 조...

  • 승용차요일제

    10인승 이하 비영업용 승용차 보유자가 특정 요일을 정해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제도. 교통...

  • 소득5분위

    국민의 소득을 5구간으로 나뉘어서 분류한 계층별 분류. 5분위는 최상위 20%, 4분위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