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산업클러스터

[industrial cluster]

특정지역에 상호 연관관계가 깊은 다수의 기업과 기관이 모여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구개발 기능을 담당하는 대학과 연구소, 생산기능을 담당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각종 지원 기능을 담당하는 벤처케피탈과 컨설팅 등 또 기업들간 수평적·수직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는 등 특정 산업분야가 집적되어 있는 일정한 지역이다.

이 지역내의 기업들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사업을 전개하고, 기술개발과 부품조달, 인력, 정보교류 등에서 개별기업의 단순 합계를 넘는 시너지와 외부효과를 발휘한다.

2023년 삼성전자가 용인의 한 지역에 300조 원을 들여 최첨단 파운드리 공장 5개를 짓기로 한 것도 기흥, 이천, 평택, 화성 등 주변 지역과의 클러스터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려는 의도다.

해외 산업클러스터의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의 실리콘밸리(IT), 스웨덴 시스타(정보통신), 일본 도요타(자동차) 등이 있다.

  • 스탠드스틸[standstill]

    정지나 멈춤을 뜻하는 standstill은 무역분야에서는 현재의 자유화수준을 유지하거나 새...

  • 시뇨리지[seigniorage]

    화폐에 대한 독점적 발권력을 갖는 중앙은행이나 국가가 화폐 발행을 통해 획득하는 이득을 의...

  • 선취분

    부부 중 한 사람이 사망했을 때 생존 배우자에게 우선 배정하는 상속 재산.유럽 일부 국가에...

  • 선부론[先富論, Getting Rich First)]

    1985년 개혁·개방을 시도한 덩샤오핑이 제시한 국가발전 이념. 개혁개방 이후 빈곤에서 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