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산업클러스터

[industrial cluster]

특정지역에 상호 연관관계가 깊은 다수의 기업과 기관이 모여있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연구개발 기능을 담당하는 대학과 연구소, 생산기능을 담당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각종 지원 기능을 담당하는 벤처케피탈과 컨설팅 등 또 기업들간 수평적·수직적인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경쟁하고 협력하는 등 특정 산업분야가 집적되어 있는 일정한 지역이다.

이 지역내의 기업들은 서로 상호작용을 통해 사업을 전개하고, 기술개발과 부품조달, 인력, 정보교류 등에서 개별기업의 단순 합계를 넘는 시너지와 외부효과를 발휘한다.

2023년 삼성전자가 용인의 한 지역에 300조 원을 들여 최첨단 파운드리 공장 5개를 짓기로 한 것도 기흥, 이천, 평택, 화성 등 주변 지역과의 클러스터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이려는 의도다.

해외 산업클러스터의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의 실리콘밸리(IT), 스웨덴 시스타(정보통신), 일본 도요타(자동차) 등이 있다.

  • 승용차요일제

    10인승 이하 비영업용 승용차 보유자가 특정 요일을 정해 차량을 운행하지 않는 제도. 교통...

  • 쇼트 스퀴즈[short squeeze]

    주가(상품가)하락을 예상하고 공매도(쇼트 매도 short selling)를 했던 투자자들이...

  • 신용부도스와프[Credit Default Swap, CDS]

    채권발행사가 부도가 날 경우 원금을 상환 받을 수 있도록 한 보험 성격의 신용파생상품. ...

  • 생존보험

    피보험자가 어느 일정 기간까지 생존하고 있는 것을 사유로 해서 보험금을 지급하는 계약을 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