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지니계수

[Gini's coefficient]

소득분배의 불평등도를 나타내는 수치. 일반적으로 분포의 불균형도를 의미하지만 특히 소득이 어느 정도 균등하게 분배되어 있는가를 평가하는 데 주로 이용된다. 이탈리아의 통계학자 지니(C. Gini)가 제시한 지니의 법칙에 따라 나온 계수다. 가로축에 저소득층부터 인원의 분포도를 그리고 세로축에 저소득층부터 소득액 누적 백분율을 구하면 소득분배곡선(로렌츠곡선)이 나온다. 여기에 가상적인 소득분배균등선(45도선)을 긋는다. 이때 소득분배균등선과 종·횡축이 이루는 삼각형의 면적과 균등선과 로렌츠 곡선간의 면적비율이 지니 계수가 된다. 따라서 지니 계수는 0과 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이 값이 0에 가까울수록 소득분배는 균등한 것을 뜻한다. 일반적으로 지니 계수가 0.4를 넘으면 소득분배가 상당히 불평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한국의 지니계수(2013년 기준)는 0.302로 전년(0.307)보다 떨어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지니계수는 0.314(2010년 기준)다.

관련어

  • 증권인수 자금대출

    한국증권금융이 유가증권의 발행과 인수 및 매출을 촉진하고 건전한 발행시장을 육성하기 위하여...

  • 죄수의 딜레마[prisoners' dilemma]

    자신만의 이익을 위한 선택이 자신과 상대 모두에게 불리한 결과를 낳는 상황을 뜻한다. ...

  • 주택공영개발

    공공기관이 주도하는 주택공급방식. 토지를 수용해 택지를 조성한 뒤 민간에 공급하지 않고 주...

  • 진성어음[commercial bill]

    기업간 상거래를 하고 대금결제를 위해 발행되는 어음으로 상업어음이라고도 한다. 진성어음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