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더블 딥

[double dip]

경기가 침체된 후 회복되는 듯이 보이다가 다시금 침체로 빠져드는 현상.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로 규정되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직후 잠시 회복 기미를 보이다가 다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으로 추락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의 경기침체를 겪어야 회복기로 돌아선다는 점에서 ''W자형'' 경제구조라고도 한다.

우리말로는 '이중하강', '이중하락', '이중침체' 등으로 번역된다.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 증권의 스테판 로치가 미국 경제를 진단하며 이 이 표현을 처음 썼다. 스테판 로치에 의하면 과거 6번의 미국 경기침체 중 5번에 더블딥이 있었다고 한다.

관련어

  • 데비안[Debian]

    자원봉사 모임 데비안 프로젝트가 만들고 있는 공개 운영체제다. 리눅스 커널(운영체제의 핵심...

  • 다우존스 지속가능성 지수[Dow Jones Sustainability Indexes, DJSI]

    기업의 사회적책임을 측정하는 대표적 지수 중 하나. 미국 다우존스와 세계적 자산관리사...

  • 딥시크 V3[DeepSeek V3]

    중국 인공지능 기업 딥시크(deepseek)가 2024년 12월 말 공개한 대형언어모델(L...

  • 대체투자[alternative investment]

    주식이나 채권 같은 전통적인 투자 상품이 아닌 다른 대상에 투자하는 방식을 말한다. 대상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