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더블 딥

[double dip]

경기가 침체된 후 회복되는 듯이 보이다가 다시금 침체로 빠져드는 현상.

일반적으로 경기 침체로 규정되는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 직후 잠시 회복 기미를 보이다가 다시 2분기 연속 마이너스 성장으로 추락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의 경기침체를 겪어야 회복기로 돌아선다는 점에서 ''W자형'' 경제구조라고도 한다.

우리말로는 '이중하강', '이중하락', '이중침체' 등으로 번역된다. 2001년 미국 모건스탠리 증권의 스테판 로치가 미국 경제를 진단하며 이 이 표현을 처음 썼다. 스테판 로치에 의하면 과거 6번의 미국 경기침체 중 5번에 더블딥이 있었다고 한다.

관련어

  • 데이터[data]

    데이터는 인간이나 컴퓨터가 통신, 해석 및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형성된 사실 및 개념의 표...

  • 디드로 효과[Diderot effect]

    문화적으로 연결이 강하다고 여겨지는 소비재에 관한 사회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프랑스의 학자...

  • 더블위칭데이[Double Witching Day]

    더블위칭데이(Double Witching Day)=선물과 옵션이 동시에 만기가 되는 날을 ...

  • 디지털 휴먼[digital human]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인간의 모습과 행동을 재현하는 가상의 인간으로 AI 휴먼, 버츄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