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플레이션
[deflation]인플레이션(inflation)의 반대 개념으로 일반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최근엔 물가하락 속 경기침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고 있다. IMF(국제통화기금)는 '2년 정도 물가하락이 계속돼 경기가 침체되는 상태'로 정의한다.
일반적으로 구매력 감소로 인한 소비 위축에서 시작 물가와 자산가치가 하락하고 생산량 저하, 기업 수지악화, 실업 증가, 임금 하락으로 이어지면서 이것이 다시 소비위축으로 이어지는 경기침체의 과정을 의미하기도 한다. 자산가치의 하락과 물가수준이 하락하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면 경제는 자칫 장기불황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
디플레이션의 대표적 사례는 일본이다. ‘잃어버린 20년’으로 불리는 장기 불황을 겪는 동안 부동산가격 폭락과 물가하락이 차례대로 진행됐다. 주식과 부동산의 거품이 빠지면서 1990년대부터 물가상승률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1992~2016년 일본의 집값 누적 하락률은 53%를 기록했다.
관련어
- 참조어더블 딥
-
대용가격[substitute price of securities]
증권매매의 위탁보증금으로서 현금 대신에 유가증권이 사용되는데, 이때 그 대용유가증권의 가격...
-
도시형 업종
대도시 지역에서 공장을 신·증설할 때 입지규제나 세제상 불이익 등을 덜 받는 업종. 공업배...
-
대출담보증권
대출담보증권은 한국은행이 금융기관에 대출시 만기일에 대출 원금 및 이자채권의 회수를 확실히...
-
동반성장위원회[Korea Commission for Corporate Partnership]
대기업의 중소기업에 대한 납품 단가 후려치기, 비용 전가 등 대기업과 중소기업간의 갈등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