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부담금

 

부담금관리기본법에 따라 공익사업을 목적으로 부과된 조세 외의 금전 의무.

정부가 각종 공익사업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하기 위해 개발사업이나 공공서비스 제공의 대가로 기업 및 개인에게 부과하는
준조세다.

특정 공익사업을 목적으로 부과하는 조세 외의 금전 납부 의무로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의 수입판매부과금 △신용보증기금 출연금 △장애인 고용부담금 △전력산업기반기금 부담금 등 항목만 94개에 달한다(2015년말 현재).

준조세 성격인 부담금 징수가 늘어나면 투자 활성화는 물론 내수 소비 선순환구조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관련어

  • 방통융합서비스

    방통융합서비스는 방송과 통신의 경계가 없어져 통신기기로 방송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게 되...

  • 배리어 코팅[barrier coating]

    기존 유리기판을 플라스틱으로 대체하면서 발생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플라스틱 기판에 부착...

  • 부동산 전자계약시스템

    종이·인감 없이 공인인증서와 온라인 서명만으로 부동산을 거래하는 시스템. 매도인과 매수...

  • 발틱건화물운임지수[Baltic Dry Index, BDI]

    발틱 해운거래소가 발표하는 해운운임지수. 종전의 Baltic Freight Index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