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디지털 TRS시스템

[digital TRS system]

유럽무선통신표준기구(ETSI)가 제정한 개방형 디지털TRS 표준 방식으로 정부가 2007년까지 대규모 국가통합지휘 무선통신망을 구축키로 한 방식과 동일한 최첨단 방식이다. 한정된 주파수 채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채널을 활용할 수 있게 한 무선이동통신을 말한다.

단일 채널의 업무용 무전기와는 달리 여러개의 채널중 사용하지 않는 빈 채널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하기 때문에 매우 효율적인 시스템이다. 디지털TRS는 보안성과 통화품질이 우수하고, 음성과 데이터 통신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함으로써 특히 업무용으로 적합하다. 2005년 4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가 한국형 디지털TRS(테트라방식)의 표준을 마련함에 따라 관련 산업의 국내 수요창출과 해외시장 개척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 드래프트 방식[draft]

    직장에서 상사가 함께 데리고 일할 부하 직원을 지명하는 인사 방식. 프로야구, 프로축구 등...

  • 단위노동비용

    상품 한 단위를 생산하는데 드는 노동비용, 즉 인건비를 말한다. 단위노동비용은 산출물 1단...

  • 대량주식소유의 신고[filing of changes in ownership of block shares]

    상장회사 발행주식의 10% 이상을 소유한 주주가 그 소유 주식의 비율이 변할 때마다 증권관...

  • 동상

    피부 온도가 10도 이하로 내려가 혈관 속에 얼음 결정이 생겨 손상되는 질환이다. 귀 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