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매관리자지수

[Purchasing Manager''s Index, PMI]

제조업 분야의 경기동향지수. 기업의 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경기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한다.
미국의 경우 미국구매관리자협회인 NAPM(National Association of Purchasing Management)이 매달 약 3백명의 회원에게 제조업 동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해 산출하는 지수를 말하나 통상 NAPM의 지수 자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구매자관리지수는 기업의 신규주문·생산 및 출하정도·재고·고용상태 등을 조사하여, 각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해 수치화한 것으로 지수가 50 이상이면 제조업의 확장을, 50 이하는 수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조업의 정확한 성장률을 보여주기보다는 전월과 비교한 상대적 호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중국의 PMI는 HSBC와 중국물류구매연합회(CFLP)가 각각 발표한다.

한국은 PMI를 별도로 산출하지 않는데, 비슷한 지표로는 한국은행·전국경제인연합 등에서 조사·발표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있다.

  • 개방형 인플레이션[open inflation]

    물가를 통제하지 않는 상태에서 수요가 공급을 초과해 물가가 오르는 현상. 이에 반해 수요가...

  • 기업부족자금보전율

    기업의 자금부족을 개인의 잉여자금이 보충해준 비율. 즉 기업의 모자라는 투자자금을 개인이 ...

  • 기한이익[benefit of time]

    미리 정한 기간 동안 당사자가 누리는 이익.

  • 가향 전자담배[flavored e-cigarette]

    과일향, 풍선껌향 등을 첨가한 액상형 전자담배다. 전자담배에는 담배를 찌는 방식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