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구매관리자지수

[Purchasing Manager''s Index, PMI]

제조업 분야의 경기동향지수. 기업의 구매담당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경기를 판단하는 지표로 사용한다.
미국의 경우 미국구매관리자협회인 NAPM(National Association of Purchasing Management)이 매달 약 3백명의 회원에게 제조업 동향에 대한 설문을 실시해 산출하는 지수를 말하나 통상 NAPM의 지수 자체를 가리키기도 한다. 구매자관리지수는 기업의 신규주문·생산 및 출하정도·재고·고용상태 등을 조사하여, 각 항목에 가중치를 부여해 수치화한 것으로 지수가 50 이상이면 제조업의 확장을, 50 이하는 수축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조업의 정확한 성장률을 보여주기보다는 전월과 비교한 상대적 호전 여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된다.

한편 중국의 PMI는 HSBC와 중국물류구매연합회(CFLP)가 각각 발표한다.

한국은 PMI를 별도로 산출하지 않는데, 비슷한 지표로는 한국은행·전국경제인연합 등에서 조사·발표하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있다.

  • 광효율[Luminous efficacy]

    소비되는 전기량(전력) 대비 빛의 밝기가 어는 정도 인지 알려주는 물리적인 양. 표...

  • 공개공지

    건물을 소유한 민간 건축주가 용적률 상향 등의 혜택을 받는 대가로 자신의 땅 일부를 일반 ...

  • 근로·자녀장려금

    저소득가구의 근로의욕 향상 및 자녀양육 부담을 줄여주기위해 도입한 제도.

  • 금융실명제

    은행예금이나 증권투자 등 금융거래를 할 때 실명으로만 하게 하는 제도로 금융거래의 정상화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