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근로소득 세액공제

 

근로자의 총급여액에서 일정 금액을 필요경비로 인정하여 공제해주는 제도

소득별로 한도를 정해 놓고 근로자 개인의 산출세액에서 일정 비율을 곱해 나온 금액만큼을 빼주는 방식이다.

총급여 500만원 이하일 경우 총급여액 70%를 공제해주며 총급여 500만원 초과 1500만원 이하는 350만원과 500만원 초과금액의 40%를 공제한다. 총급여 1500만원 초과 4500만원 이하는 750만원과 1500만원 초과액의 15%를 더한 금액이 공제액이다.

연봉이 4,500만원을 넘고 1억원이하라면 1,200만원에 4500만원 초과액의 5%를 공제해준다. 연봉이 1억원을 초과한다면 1,475만원에, 1억원 초과 금액의 2%를 더한 금액을 공제받게 된다.

  • 교통사고 누락보험금

    교통사고 피해자가 약관상의 보험금 지급기준을 잘 알지 못한다는 이유로 손해보험사가 고의적으...

  • 관리지역

    2003년 난개발을 방지하기 위해 준도시지역과 준농림지역을 통합해 만든 지역. 관리...

  • 급여 항목

    국민건강보험에서 의료비 일부를 지급하는 진료나 치료 항목을 뜻한다. "급여"는 본래 ...

  • 개인정보보호법

    당사자 동의 없는 개인정보 수집이나 활용 및 제3자 제공을 금지하기 위한 법률. 이 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