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긴축발작

[taper tantrum]

미국의 양적완화정책이 긴축으로 전환될 때 금융시장이 겪는 충격.

원래 테이퍼 탠트럼은 큰 경기를 앞두고 운동선수가 겪는 심리적인 불안을 표현하는 의학 용어 인데, 2013년 5월 그린스펀 전 미국 중앙은행(Fed)의장의 후임인 벤 버냉키 전 의장이 양적완화 축소 가능성을 거론한 일을 계기로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는 신흥국가 통화가치와 주가가 동반 하락하는 충격이 발생한 것을 일컫는 말이다.

'테이퍼 텐트럼' 이라고도 한다.

2008년 미국에서 촉발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흥국은 세 차례에 걸쳐 ‘테이퍼 텐트럼’(1차 2013년, 2차 2015년, 3차 2018년)을 겪었다.

관련어

  • 공작기계[a machine tool]

    산업 현장의 기본이 되는 기계로 자동차 부품가공, 금형가공, 연삭 등에 주로 사용된다. 주...

  • 금융투자소득세[fincial investment income tax, 금투세]

    연간 기준 금액(주식 5천만 원·기타 250만 원)을 넘는 소득을 올린 투자자에게 20%(...

  • 국제연구망[Trans-Eurasia Information Network, TEIN]

    한국-동남아-유럽을 연결하는 국제 연구망. 2000년 ASEM3 정상회의에서 우리나라가 처...

  • 국제특허분류[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IPC]

    특허분류체계를 국제적으로 통일시킬 목적으로 체결된 국제특허분류에 관한 ''스트라스부르(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