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부문통화
정부신용, 국내신용, 해외부문 등에 해당되지 않고 공급되는 나머지 부문을 말한다. 그 특징을 한마디로 요약하기는 어렵지만 비교적 금액 비중이 높은 항목을 보면 채권발행, 자본금, 본지점계정 등으로 통화신용정책이나 각 은행의 경영정책 등과 관련이 깊다.
즉, 한국은행이 시중에 유통되는 돈이 너무 많다고 판단하여 통화안정증권을 발행하면 그만큼 시중의 돈이 한국은행으로 들어오게 되며, 반대로 시중에 돈을 공급하기 위해 통화안정증권을 상환해 주면 민간에 그만큼 많은 현금이 흘러들어 가므로 통화가 늘어난다.
이러한 채권발행 이외에도 개별은행이 자본금을 증자하면 시중의 돈이 은행으로 들어와 통화가 흡수되며, 또 고정자산을 취득한다면 이 부문을 통해 돈이 공급되는 결과를 낳는다.
-
경과손해율[earned-incurred loss ratio]
경과보험료 대비 발생손해액이 차지하는 비율
-
개방형 OS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로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PC 운영체제. 리눅수 (Linux)...
-
군집화[clustering]
군집화(클러스트링: Clustering)는 데이터의 유사성을 기준으로 여러 데이터를 그룹(...
-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Cybersecurity Alliance for Mutual Progress, CAMP]
개발도상국 34곳이 참여하는 정보보안 협력체로 2016년 7월11일 한국 주도로 출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