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국민소송제

 

중앙정부나 지방자치단체 등의 예산이 법에 어긋나게 사용된 경우 이를 환수하도록 소송을 내는 권한은 납세자에게 부여하는 제도. 납세자 소송제라고도 부른다. 재정 집행에 대한 시민들의 감시와 통제를 강화해 예산 낭비를 줄이고 공무원들의 재정운영에 대한 책임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눈길을 끌고 있다. 국민소송으로 국가가 경제적 이익을 얻었을 때는 일정 비율(예컨대 10%, 10억원 이내)을 소송제기자에게 돌려주게 된다. 그러나 이른바 "카파라치"(카메라로 교통위반 현장을 찍어 제보하는 전문업자) 사례처럼 제도의 본래 취지와 달리 자칫 소송이 남발될 우려도 있다. 미국(연방.주.지방 정부)과 일본(지방정부)에서 시행중이다. 국내에서는 옛 지방자치법에 유사한 제도가 있었으나 활용된 예가 없다는 이유로 지난 88년 폐지된 뒤 이후 의원입법 형태로 다시 발의돼 현재 국회 법사위에 계류돼 있는 상태다.

  • 그린 노마드[Green Nomad]

    도시이던 시골이던 내가 머무는 공간 그 자체에서 정신적인 해방감을맛보아야한다는 도시의 유목...

  • 기업사냥꾼[raiders]

    특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기업을 인수하거나 합병하는 투자가 또는 전문가 집단을 말한다....

  • 게르하르트 슈뢰더[Gerhard Schroder]

    전 독일 총리. 1944년 독일 서부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의 소도시 리페에서 태어났다...

  • 국가직무능력표준[National Competency Standard, NCS]

    산업현장의 직무 수행에 요구되는 직무능력(지식, 기술, 태도)을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