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기업실적

 

기업실적은 "어떤 기업이 얼마만큼 팔아 어느정도 이익을 올렸는가"를 나타내는 말이다. 구체적으로 매출액 영업이익 경상이익 당기순이익 등으로 세분된다. 주식시장에서는 네가지 지표중 통상 경상이익과 당기순이익을 기준으로 삼는다. 따라서 매출은 늘었지만 당기순이익이 줄었다면 실적개선으로 볼 수 없다는 설명이다.

매출액은 제품을 얼마만큼 팔았느냐(판매금액)를 나타내는 수치다. 매출액에서 제품을 만드는데 들어간 원료비 임금 판매관리비 등의 영업비용을 뺀 것이 영업이익이다. 실제 장사를 해서 얼마만큼의 돈을 남겼는가를 나타낸다. 기업의 현금흐름을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다.

경상이익은 영업이익에서 이자비용 환차손 등 직접 영업과 관련되지 않는 부문에서 발생한 영업외비용을 뺀(영업외수익은 포함) 수치를 말한다. 기업실적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대부분 기업이 일정부분의 차입금을 가지고 영업활동으로 하기 때문에 경상이익이 진정한 의미의 실적이라고 할 수 있다.

당기순이익은 경상이익에서 특별손익을 가감한뒤 법인세를 제외한 수치다. 공장매각 등 정상적인 기업활동과 무관하게 발생한 특별이익특별손실을 경상이익에서 보태거나 빼서 나온게 당기순이익이다.

  • 국방산업발전협의회

    방위산업 육성과 방산 수출을 범정부 차원에서 지원하기 위해 2011년 출범한 기구. 산업통...

  • 공사완성보증제[surety bond]

    공사완성보증제는 금융·보험업체가 건설업체의 신뢰도 및 기술력을 기준으로 해 공사완성을 보증...

  • 그림자 전쟁[Shadow Warfare]

    그림자 전쟁은 공식적이거나 직접적인 전쟁 선언 없이, 자국의 개입 사실을 은폐하고 특정 국...

  • 기대인플레이션

    경제주체들이 예상하는 미래의 물가 상승률.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은행이 매달 전문가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