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단위형 금전신탁

 

은행권의 간접투자상품 중의 하나로 고객이 맡긴 돈으로 주식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의 은행신탁상품과 차이가 난다. 운용결과 얻은 수익을 고객에게 다시 되돌려 준다. 판매기간이 남았어도 펀드 목표액이 채워지면 더이상 돈을 받지 않는다. 이처럼 펀드별로 각각 운용되는 까닭에 상품 이름을 단위형이라고 붙였다. 이 상품은 주식은 전혀 사지 않고 채권이나 기업어음 대출로만 운용하는 안정형(채권형)과 펀드자금의 10~20%를 주식으로 사들이는 안정성장형, 최대 30%까지 주식투자에 나서는 성장형 등으로 나누어진다. 투자자들은 자신의 성향에 따라 이들 상품 중 투자대상을 고를 수 있다.

  • 대인배상 Ⅱ

    자동차 사고로 인해 타인이 다치거나 죽었을 때 손해배상금액이 대인배상Ⅰ 담보의 손해배상 범...

  • 데이터 설계자[data architect]

    데이터를 제대로 구축하고 데이터간 연관성 및 품질, 성능을 종합적으로 제시하는 업무를 담당...

  • 동일인 지정제도

    동일인 지정제도는 기업을 실질적으로 지배하는 주체, 즉 그룹 총수를 정부가 지정하는 제도로...

  • 디트로이트협약

    1950년 GM 노사가 체결한 협약. 근로자들의 퇴직후에도 연금과 건강보험료를 회사가 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