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드라이 파우더

[dry powder]

사모펀드가 투자자로부터 모은 투자금 중 아직 투자를 집행하지 않은 돈을 말한다.
소총과 대포로 전쟁하던 19세기까지 병사들의 가장 중요한 역할 중 하나는 화약을 건조한 상태로 유지하는 일이었다. 화약이 젖어 있으면 총이나 대포도 무용지물이 되기 때문이다. 건조된(dry) 화약(gun powder)을 뜻하는 ‘드라이파우더’는 그래서 전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실탄을 의미했다. 최신식 전투기와 장갑차가 등장한 20세기부터 드라이파우더라는 말은 전장에서 사라졌지만 금융업계에서는 사모펀드에서 뵤유하고 있는 실탄을 뜻하는 은어로 사용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프레킨에 따르면 2015년 9월 말 현재 세계 사모펀드들이 보유하고 있는 드라이파우더는 1조3200억달러(1580조원)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벤처캐피털 등을 제외한 순수 바이아웃(경영권 인수) 펀드의 드라이파우더만도 4806억달러(약 577조원)에 달한다.

  • 다동이

    다문화·동포·이주민의 머리글자를 따 만든 용어다.

  • 단말기 지원금 상한제도

    신규 휴대폰(출시 후 1년3개월이 지나지 않은 단말기)의 지원금을 일정액 이상으로 올리지 ...

  • 데스크테리어[deskterior]

    데스크(desk)와 인테리어(interior)의 합성어로 사무실 책상을 꾸미는 일을 말한다...

  • 도이 머이[doi moi]

    베트남어로 ''변경한다''는 뜻의 ''도이(doi)''와 ''새롭게''라는 의미의 ''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