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주거래
특정 주식값이 떨어질 것으로 보고 증권사에서 해당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주식 값이 판 가격보다 더 떨어지면 사서 상환함으로써 차익을 얻는 거래 방식. 예를 들어 현재 10,000원에 거래되는 회사의 주식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고 매각한 뒤 일정시간 후에 9,000원에 매입하면 주당 1,000원의 차익을 거둘 수 있다. 주식을 판 후 돌려줘야하는 기간은 통상 30-90일 정도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주가가 오르면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한편 기관투자가들이 증권금융에서 주식을 빌리는 거래는 ''대차거래''라는 용어를 써서 대주거래와 구분한다.
-
덤벨경제[dumbbell economy]
덤벨경제는 운동 등 건강과 체력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관련 시장이 급격히 성장하는 ...
-
대체재[substitutional goods, substitutes goods]
한 재화의 가격이 하락(상승)할 때 다른 한 재화의 수요가 감소(증가)하면 두 재화는 서로...
-
대분열 시대[the great divergence]
미국과 미국 이외의 주요경제국인 EU, 중국, 일본 등이 저금리기조에 대한 동조화를 포기하...
-
단위형 금전신탁
은행권의 간접투자상품 중의 하나로 고객이 맡긴 돈으로 주식투자를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