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예금 부분보장제

 

금융기관이 파산하거나 영업정지됐을 때 정부가 일정금액까지만 예금반환을 보장해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외환위기 이후 전액보장제를 선언한 뒤 지금껏 그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2001년 1월1일부터 보호한도가 5천만원으로 정해지면 한 개 금융기관에 원금과 이자를 합쳐 5천만원 이상을 예금하지 말아야 한다. 언제 가입했는지에 상관없이 원금과 이자를 합쳐 5천만원까지만 정부가 보장해주기 때문이다. 해당 금융기관이 파산할 경우 예금액이 5천만원 이상이면 5천만원 초과분을 반환받지 못한다.

  • 애프터마켓[aftermarket]

    기업이 소비자에게 제품을 판 이후에 부품 교체와 유지보수, 설비확장, 컨설팅 등을 해주는 ...

  • 외화옵션

    옵션 개념에 환율 변수를 추가한 "외화옵션"금융상품이 비교적 안전하면서도 높은 수익을 올릴...

  • 이탈렉시트[Italexit]

    이탈리아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에서 탈퇴하는 것. 2018년 5월 하순 들어 ...

  • 원적지관리

    정유사가 매출이 높거나 상징적인 지역에 있는 다른 회사 폴(간판)의 주유소를 자기 회사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