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후순위차입금

[subordinated debt]

일반 차입금들이 모두 상환된 뒤 변제청구권을 갖도록 약정을 맺은 차입금이다. 즉, 회사가 파산하거나 정리를 위해 잔여재산을 청산할 경우 차입금을 빌려준 일반채권들이 우선적으로 변제를 받은 후 남은 재산으로 변제하게 되는 차입금이다. 만일 잔여재산이 모자랄 때에는 상환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주주나 계열사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경우와 주로 정부정책상 증자가 어려운 은행, 증권 등 금융기관들이 후순위차입금 약정을 맺고 돈을 빌리는 경우가 많다.

정부에서도 금융기관들이 영업용 자본의 유지를 위해 후순위차입금 일정 범위를 영업용 자본에 가산토록 제도화하고 있다. 금융기관의 영업자본유지를 위해 만든 제도이기 때문에 영업용 순자본 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만기도래조차 유예된다. 1996년 6월 제일은행이 해외에서 2억달러의 후순위차입금을 빌린 것이 국내 첫 사례다.

  • 홍콩 인권법

    원 명칭은 '홍콩 인권 민주주의 법안'이다. 미국 국무부가 홍콩의 자치 수준을 매년 검...

  • 희귀의약품[orphan drug]

    적용대상이 드물고 적절한 대체의약품이 없어 긴급한 도입이 요구되는 의약품으로서 식품안전처가...

  • 하우스 세일[house sale]

    한 사람이 오랫동안 꾸준히 모아온 소장품을 한자리에서 선보이고 판매하는 경매를 일컫는 용어...

  • 해외직접투자

    단순히 해외에서 자산을 운용하는 것이 아니라 경영참가 와 기술제휴를 목적으로 한 해외투자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