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순위차입금
[subordinated debt]일반 차입금들이 모두 상환된 뒤 변제청구권을 갖도록 약정을 맺은 차입금이다. 즉, 회사가 파산하거나 정리를 위해 잔여재산을 청산할 경우 차입금을 빌려준 일반채권들이 우선적으로 변제를 받은 후 남은 재산으로 변제하게 되는 차입금이다. 만일 잔여재산이 모자랄 때에는 상환받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대주주나 계열사로부터 자금을 차입하는 경우와 주로 정부정책상 증자가 어려운 은행, 증권 등 금융기관들이 후순위차입금 약정을 맺고 돈을 빌리는 경우가 많다.
정부에서도 금융기관들이 영업용 자본의 유지를 위해 후순위차입금 일정 범위를 영업용 자본에 가산토록 제도화하고 있다. 금융기관의 영업자본유지를 위해 만든 제도이기 때문에 영업용 순자본 비율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질 경우에는 만기도래조차 유예된다. 1996년 6월 제일은행이 해외에서 2억달러의 후순위차입금을 빌린 것이 국내 첫 사례다.
-
한국형 헤지펀드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해 시황에 관계없이 절대수익을 추구하는 공모펀...
-
황금CB
전환가격이 고정된 전환사채로, 자본을 줄이는 감자를 실시해도 전환가격이 달라지지 않는다. ...
-
해외직접투자유입성과지수[FDI Inward Performance Index]
한 국가의 국내총생산(GDP)이 전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을고려했을 때 전세계 FDI...
-
환율조작국
자국의 수출을 늘리기 위해 정부가 인위적으로 외환시장에 개입해 자국에 유리하게 환율을 조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