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환재정거래

 

일정 시점에서 각국 환시세의 불균형을 이용하여 그 차익을 얻기 위한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외환거래를 말한다. 2개국간의 환시세 불균형을 대상으로 하는 직접재정거래와 3개국 이상의 환시세를 이용하는 간접재정거래가 있다. 이러한 거래가 이뤄지기 위한 조건은 각 지역간에 환시세의 불균형이 존재하여야 하고, 그 차익이 거래비용보다 커야 하며, 각 시장간에 시차가 없고, 각 시장에서 환시세의 입수 및 환거래가 가능하여야 한다. 환재정거래의 결과 여러 통화간의 균형상태가 이뤄질 경우를 평면적 균형 또는 장소적 균형이라고 한다.

  • 회계연도[fiscal year]

    국가의 세입·세출을 구분, 정리하기 위해 정한 일정 기간을 말한다. 언제부터 언제까지를 기...

  • 후순위담보채 펀드

    대우채 환매에 대비해 나온 새 상품으로 채권담보부증권(CBO)의 후순위채권에 25% 이상을...

  • 한국형 실업부조

    저소득층 구직자에게 생계 보장과 취업 지원을 위한 급여를 주는 제도로 2020년부터 시행될...

  • 회계변경[accounting change]

    기업회계기준의 일반원칙 중 ‘계속성의 원칙’이라는 것이 있다. 이는 회계처리에 관한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