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과표현실화율

 

각종 세금은 과세표준(과표)에 세율을 곱해서 산출하는 것이 원칙이다. 따라서 과표의 크기가 적으냐 많으냐가 바로 세금 부담의 크기를 결정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과표의 중요성이 이처럼 크기 때문에 과표가 어느 수준에서 결정되느냐는 납세자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징세 당국에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과표가 실제 세금을 내야 하는 대상(동산·부동산의 가액, 소득 등)을 얼마나 충실히 반영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것이 바로 과표현실화율이다. 모든 세금에서 과표현실화율이 100%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실적으로는 이것이 곤란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매달 월급에서 원천징수되는 근로소득세는 100% 과표가 현실화된 예이다. 현재 국세청이 발표하는 기준시가는 과표현실화율(아파트 실거래가격 반영비율)이 70∼80%에 이른다.

  • 구매가격 할인[purchase price discount]

    일반적인 매입할인과는 별도로 계약기간 중 임의로 일정기간(보통 1개월)을 정하여 그 기간동...

  • 개발제한구역[Green Belt]

    도시의 인구집중으로 무질서하게 외곽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 바깥을 벨트형태로...

  • 경제활동인구[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만 15세 이상 인구 중 조사기간동안 재화나 용역을 생산하기 위해 노동을 제공할 의사와 능...

  • 공직적성평가[Public Service Aptitude Test, PSAT]

    공직 수행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소양, 자질 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수험생 부담 과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