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과세특례 배제지역

 

연간 매출액 4천8백만원 미만인 사업자는 과세특례방식으로 부가가치세를 낸다. 일반과세자는 매출액에서 매입액을 뺀 것에 10%의 세율을 적용하는 데 비해 과세특례자는 매출액에 2%의 세율을 물리기 때문에 세부담이 적다.

세무당국은 이런 폐단을 막기 위해 일정 지역(또는 상가)을 과세특례 배제지역으로 정해 이곳에서 새로 사업을 하는 사업자에겐 과세특례를 인정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물론 이런 경우에도 과세특례 배제지역 지정 전부터 영업을 해온 사업자는 요건을 갖추면 계속 과세특례자로 인정받게 되어 있다.

과세특례 배제지역은 명동이나 백화점 등 영세사업자가 사업하기 힘들 것으로 보이는 특정구역이나 상가가 지정되는 게 대부분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서울 강남 및 삼성세무서가 관할지역 전체를 과세특례 배제지역으로 지정하는 등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국세청은 부당하게 과세특례를 받으려는 사업자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임대료 등 사업여건을 조사, 이 지역을 계속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 공직적성평가[Public Service Aptitude Test, PSAT]

    공직 수행에 필요한 기본 지식과 소양, 자질 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수험생 부담 과중, ...

  • 구주[old shares]

    주식회사가 증자나 합병 등으로 새로 발행하는 주식을 신주라 하며 이에 대해 이미 발행되어 ...

  • 구조조정[restructuring]

    한 나라의 산업은 경제발전단계, 임금수준 등 여건 변화에 따라 경쟁력이 떨어지는 업종이 나...

  • 골드미스[Gold Miss]

    30대 이상 40대 미만 미혼여성 중 학력이 높고 경제적 능력이 되는 여성들을 의미하는 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