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지표

 

통화지표는 통화의 총량을 가늠하는 잣대라고 할 수 있다. 즉, 통화지표는 통화의 크기와 변동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통화지표는 통화정책 수립의 가장 기본적인 자료로 쓰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통화(M1), 총통화(M2), M2A, M2B 그리고 M3의 다섯 종류로 통화지표를 구분하여 통화정책지표로 이용하고 있으며 M2를 통화관리의 중심 지표로 삼고 있다.

M1은 현금과 은행 요구불예금(당좌, 보통예금)을 합친 것이고, M2는 M1에다 정기예금· 적금과 같은 저축성예금까지 포함한 것이다. M3는 M2에 보험·투신사를 비롯한 제2금융권에서 받아들인 예수금 등을 더한 개념이다.

  • 텐포켓[Ten Pocket]

    저출산 시대에 부모와 양가 조부모, 삼촌, 이모(고모), 사촌까지 아이 한 명당 열 명이 ...

  • 테라스형 상가

    점포 앞에 테라스를 설치하고 커피숍ㆍ음식점 등의 영업을 하는 상가를 말한다. 길가에 들어선...

  • 트럼프 청산주의[Trump liquidationism]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단기적인 경제적 고통을 감수하더라도 장기적인 경제 재건을 위해 과감한 ...

  • 통화정책[monetary policy]

    완전고용, 물가안정, 국제수지의 향상, 경제성장 촉진 등의 정책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중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