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지표

 

통화지표는 통화의 총량을 가늠하는 잣대라고 할 수 있다. 즉, 통화지표는 통화의 크기와 변동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라고 할 수 있다. 통화지표는 통화정책 수립의 가장 기본적인 자료로 쓰인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통화(M1), 총통화(M2), M2A, M2B 그리고 M3의 다섯 종류로 통화지표를 구분하여 통화정책지표로 이용하고 있으며 M2를 통화관리의 중심 지표로 삼고 있다.

M1은 현금과 은행 요구불예금(당좌, 보통예금)을 합친 것이고, M2는 M1에다 정기예금· 적금과 같은 저축성예금까지 포함한 것이다. M3는 M2에 보험·투신사를 비롯한 제2금융권에서 받아들인 예수금 등을 더한 개념이다.

  • 테라그노시스[Theragnosis]

    질병을 조기에 진단하고 동시에 치료를 수행하는 신개념 진단·치료 기술로 치료(therapy...

  • 텔레콤 계수[telecom Engel’s coefficient]

    가계지출에서 정보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식료품비를 나타내는...

  • 특허존속기간

    특허의 존속기간은 출원일로부터 20년이다. 일반적으로 특허는 출원일로부터 대략 12~15개...

  • 토지수익연계채권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미분양 토지를 기초자산으로 발행하는 채권으로,1차적으로 표면금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