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통화 공급량

 

금융기관 이외의 민간부문이 보유하는 현금통화, 예금통화, 준통화 등의 잔고를 말한다.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예금통화)의 합계를 통화(M1), 여기에 저축성예금(준통화)을 더한 것을 총통화(M2), 그리고 총통화에 비통화기관 예수금, 금융채권 발행액, 상업어음 매출액, 양도성예금증서 발행액을 합한 것을 총유동성(M3)이라고 한다. 통화공급은 물가나 경기동향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각국마다 핵심적인 금융정책 과제로 중시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책적으로 증가율의 목표치를 설정해 통화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 투자상담사

    증권사 창구에서 주식 선물 옵션의 매매 및 매매위탁을 권유하거나 투자상담을 해주는 증권 전...

  • 텔레마케팅[telemarketing]

    촉진과 촉진반응을 위해 상호작용식 매체로서 전화를 사용하는 것. 응답 수단으로서의 텔레마케...

  • 테크노스트레스[Techno-stress, Technophobia]

    사람들이 새로운 기술을 따라가지 못해 겪는 스트레스를 말한다. 이 용어는 1983년 미국 ...

  • 트윈세대[TWEEN]

    8~12세 사이의 어린이를 이르는 말. 흔히 10대 청소년으로 불리는 13~19세와 7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