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출자총액제한제

 

출자총액제한제도는 30대 대규모 기업집단소속 계열사가 순자산(자기자본)의 일정 범위 이상을 다른 회사에 출자할 수 없게 하는 제도다. 재벌그룹들이 기존 회사의 자금을 이용해 자회사를 무분별하게 설립하거나 인수하는 문어발식 시장 확대를 제한한다는 취지에서 도입했다. 자산총액 합계액이 6조원 이상인 기업집단에 속하는 기업은 회사 순자산의 25%를 초과해 다른 국내 회사에 출자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1987년 첫 도입된 뒤,1998년 2월 국내 알짜기업에 대한 외국자본의 적대적 M&A(인수합병)를 막기 위해 폐지됐다. 이후 2001년4월 재도입됐다가 2009년 3월 다시 폐지되었다.

  • 천안문 사태

    정치개혁을 주장하던 후야오방 총서기의 사망을 계기로 촉발된 대학생과 시민의 정치개혁·민주화...

  • 체세포 핵치환[somatic-cell nuclear transfer, SCNT]

    체세포와 난자를 이용해 생존 가능한 배아를 만드는 기술. 핵을 제거한 난자에 다른 체세포에...

  • 축농증[Sinusitis]

    사람의 얼굴에는 공기가 가득 차 있는 ‘동굴’과 같은 빈 공간이 있다. 코 주위의 ‘부비동...

  • 친일인명사전

    민족문제연구소가 일제 강점기에 친일 행위를 한 한국인의 목록을 정리한 사전이다. 총론편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