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자산이익률

[return on assets, ROA]

수익성을 살펴보는 대표적인 지표로 ''총자산에서 당기순이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충자산이익률이다. 즉, 당기순이익을 총자산으로 나누면 산출된다.

ROA (%) = (당기순이익/총자산) x100

총자산은 자기자본과 타인자본 (부채)을 합한 총자본과도 같기 때문에, 총자산이익률을 총자본순이익률이라고도 한다. ROA가 높다는 것은 자산에 비해 이익이 많다는 의미로서, 자산을 기준으로 볼 때 수익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즉, 총자산이익률은 주주의 돈과 은행에서 빌린돈 등을 모두 이용해 얼마나 벌었는지를 나타내는 값이라고 할 수 있다.

  • 채권 장외거래 동시결제시스템[Delivery Versus Payment, DVP]

    장외에서 거액(건당 평균 100억원)의 증권(채권, CD, CP)이 거래될 때 거래대금을 ...

  • 최저보증이율

    시중지표금리나 운용자산이익률이 하락하더라도 보험회사가 계약자에게 지금하기로 약속한 최저 금...

  • 칩 시크[cheap chic]

    싼 가격에 품질, 세련된 디자인 등 핵심 가치를 두루 갖춘 상품 및 서비스를 의미한다. 불...

  • 창조관광

    기존 관광산업에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더해 새로운 가치와 시너지를 창출하는 형태. 관광벤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