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자본경상이익률

[ordinary income to total assets]

총자본경상이익률은 기업에 투하운용된 총자본이 어느 정도 수익을 올렸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수익성 분석의 대표적 비율이다.
총자본경상이익률=(경상이익/총자본)x100
한편 이 비율의 변동요인을 좀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볼 수 있다.

첫째는 매출액경상이익률총자본회전율과의 관계에 의한 분석방법이다.
- 총자본경상이익률=매출액경상이익률x총자본회전율 - 경상이익/총자본=(경상이익/매출액)x(매출액/총자본)
따라서 매출액경상이익률은 높으나 총자본회전율이 낮은 경우에는 판매마진은 높으나 기업의 판매활동이 부진하였음을 나타낸다.

둘째는 자기자본경상이익률자기자본비율의 관계에 의한 분석방법이다. 즉, 자기자본경상이익률이 비록 높더라도 타인자본의존도가 높은 기업에서는 총자본이익률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총자본경상이익률=자기자본경상이익률×자기자본이익률

  • 차월물

    선물계약에서 최근월물 이후에 만기가 도래하는 모든 월물을 통칭해서 부르는 말

  • 총외채[gross foreign debts]

    정부와 금융기관과 기업이 외국에 진 빚의 총액을 말한다. 총대외지불부담이라고도 한다.

  • 처닝[churning]

    ‘휘젓기’ 쯤으로 번역될 수 있는 이 말의 경제학적 의미는 ‘대량 해고와 대규모 채용의 동...

  • 창어

    '창어'(嫦娥·항아)는 중국 신화에 나오는 달의 여신으로, 2004년 시작된 중국 달 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