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자본경상이익률

[ordinary income to total assets]

총자본경상이익률은 기업에 투하운용된 총자본이 어느 정도 수익을 올렸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수익성 분석의 대표적 비율이다.
총자본경상이익률=(경상이익/총자본)x100
한편 이 비율의 변동요인을 좀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 방법으로 분석하여 볼 수 있다.

첫째는 매출액경상이익률총자본회전율과의 관계에 의한 분석방법이다.
- 총자본경상이익률=매출액경상이익률x총자본회전율 - 경상이익/총자본=(경상이익/매출액)x(매출액/총자본)
따라서 매출액경상이익률은 높으나 총자본회전율이 낮은 경우에는 판매마진은 높으나 기업의 판매활동이 부진하였음을 나타낸다.

둘째는 자기자본경상이익률자기자본비율의 관계에 의한 분석방법이다. 즉, 자기자본경상이익률이 비록 높더라도 타인자본의존도가 높은 기업에서는 총자본이익률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총자본경상이익률=자기자본경상이익률×자기자본이익률

  • 칩렛[chiplet, lego-like package]

    하나의 칩에 여러 개의 칩을 집적하는 기술을 말한다. 레고 블록을 조립하는 것과 비슷해 ‘...

  • 체계적 위험[systematic risk]

    투자이론에서는 베타계수라고 하는데 증권시장 또는 증권가격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의하...

  • 채권면역

    채권면역이란 앞으로 시장금리가 어떻게 변화하더라도 채권매입 당시의 수익률을 실현시키고자 하...

  • 총경쟁력 환율

    교역상대국의 명목환율에 물가와 총교역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반영한 환율지표를 실질실효환율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