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총수요관리

[aggregate demand management]

한 경제체제 안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경제주체가 원하는 재화·용역의 총량을 총수요라 하며 이같은 총수요를 조절하는 정책을 총수요관리라 부른다. 다시 말해 국민경제 주체들이 경제활동을 위해 쓰고자 하는 돈의 총액을 관리하는 것이 총수요관리다. 여기서 관리하는 총수요에는 가계의 소비, 기업의 투자, 정부의 재정지출 등이 모두 포함된다. 총수요관리는 보통 경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경기가 지나치게 과열되면 수요를 줄이고 너무 위축되면 수요를 늘리는 것이 기본골격이다.

  • 최적기업규모[optimum company size]

    직원 1인당 평균 수익이 최대가 되는 규모 또는 제품 단위당 평균비용이 최소가 되는 규모를...

  • 책임준공

    시공사가 정해진 기간 내에 공사를 완료하고 사용승인이나 준공을 보장하는 의무를 명시한 약속...

  • 초전도 한류기[Superconducting Fault Current Limiter, SFCL]

    낙뢰나 합선, 단선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과잉전류를 0.1밀리초(1밀초=1000분의 1초)...

  • 차용증[debt acknowledgement form]

    돈이나 물건을 빌려 썼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한 문서로 차용증서 혹은 금전소비대차계약서라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