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첨가소화채

 

자동차나 주택 구입, 법인설립등기시 의무적으로 채권을 사야 한다. 도시철도채권과 같이 인허가 등록, 면허 등에 반드시 사도록 돼 있는 이런 채권은 강제로 배정되는 방식으로 발행돼 첨가소화채권으로 불린다. 첨가소화채의 종류로는 각종 인허가에 따르는 만기 5년의 국민주택채 1종, 아파트 등을 구입할 때 배정되는 만기 20년의 국민주택채 2종, 서울 지역에서 자동차를 구입할 때의 9년짜리 도시철도채권, 여타 지방에서 자동차를 살 때의 5년짜리 지역개발채권 등을 들 수 있다.

  • 체신예금

    1961년 우편저금법의 제정 이후 체신업무의 부대업무로 운용되다가 1977년 우편저금법이 ...

  • 채권시장안정펀드

    2008년 11월 리먼 브라더스의 파산에 따른 세계 금융시장의 혼란속에 채권시장의 경색되어...

  • 초연결사회[超連結社會, Hyperconnected Society]

    인터넷을 기반으로 사람, 사물,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실시간으로 연결되어 상호 작용하고 정...

  • 출자총액제한제

    출자총액제한제도는 30대 대규모 기업집단소속 계열사가 순자산(자기자본)의 일정 범위 이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