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청년의무고용

 

정원의 3% 이상을 청년으로 고용하도록 의무화한 제도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3년간 한시적으로 공공기관과 공기업에 한해 적용되고 있다. 의무 고용을 달성하지 못하면 벌금을 내야 한다. 노동계는 이 제도를 대기업에 확대 적용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청년실업을 해소하기 위해서라는 명분에서다.
그러나 취업준비생들의 대기업 선호도가 높아 대기업에까지 청년의무고용할당제를 확대 적용하면 대기업 취업을 준비하는 취업준비생들이 더 늘어날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 체인 아이디[CHAIN ID]

    블록체인 기술을 바탕으로 금융투자사들이 공동으로 공인 인증 절차를 진행하는 서비스. 증권...

  • 차이메리카[Chimerica]

    미국의 역사학자 니얼 퍼거슨 (Niall Ferguson) 하버드대학 교수가 2007년 말...

  • 청정기술[clean technology]

    저오염 및 저공해 공정기술(low pollution technology)로 통칭. 발생한 ...

  • 착용로봇[wearable robot]

    옷처럼 몸에 착용하고 동작 의도에 따라 근력을 증폭시켜 작업능력을 더해주는 로봇이다. 착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