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채권추심업무

[collection service]

금융기관과 카드회사, 백화점 등 대형 유통업체들의 불량채권을 대신 회수해주는 업무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95년 7월 6일부터 실시되었다.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신용정보제공,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채권추심업무가 신용정보업자의 새 업무로 등장한 것이다. 채권회수전문기관은 전문인력과 고급정보를 보유해야 원활한 추심업무를 할 수 있다. 그래서 신용정보법에 의해 채권추심업무를 할 수 있는 기관은 신용정보업자로 제한됐다. 또 신용정보법상 채권회수를 위임할 수 있는 채권자는 신용정보제공 이용자로 규정돼 있다. 신용정보제공 이용자란 신용정보법 시행령에 규정된 은행, 증권, 보험, 상호신용금고, 농수축협 등 금융기관과 대형 유통업체, 카드회사, 중소기업협동중앙회 등이다.

  • 차입금의존도

    총자본중 외부에서 조달한 차입금이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차입금의존도가 높을수록 금융비용...

  • 추기경[cardinal]

    교황 다음으로 높은 가톨릭 고위 성직자. 교구를 관할하는 대주교이거나 교황청 관료들로, 교...

  • 채무통합

    채무자가 가진 2개 이상의 채무를 더 낮은 금리와 여유있는 한도로 바꿔주고 상환기간, 상환...

  • 총공급[aggregate supply]

    거시 경제학에서 주어진 기간에 각 가격수준에서 시장에 제공되는 재화와 용역의 총합계. 총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