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추세전환

 

주가는 일정한 방향으로 영구히 진행할 수 없다. 상승이 지나치면 하락으로, 또 하락추세에서 언젠가는 상승추세로 그 방향을 바꿀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형성된 추세선을 이탈하여 새로운 추세로 전환하는 것을 추세전환(추세반전)이라고 한다. 추세전환은 지금까지 형성된 추세선을 3% 이상 이탈했을 경우 의미가 있는 것으로 본다. 추세선이 상승전환하기 위해서는 거래량이 증가하고 반대로 주가가 추세선을 향하여 하강할 때는 거래량이 감소한다.

  • 최저가격제

    물건 가격이 일정선 이하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생산자를 보호하기 위한 제도. 최저임금제가...

  • 총부채상환비율[debt to Income, DTI]

    총소득에서 부채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 소득을 기준으로 금융회사로...

  • 초다수결의제

    지분구조가 취약한 회사가 적대적 인수합병을 어렵게 하기위해 일부 안건에 대해 주총 통과 요...

  • 처녀생식

    핵이 제거되지 않은 난자가 전기충격을 받을 경우 정자가 들어온 것으로 착각해 마치 수정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