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식 스와프

 

금리와 주가지수를 교환하는 기법을 말한다. 주식에 투자한 기관이나 기업들이 주가가 떨어질 것으로 예상될 때 활용할 수 있다. 1억달러를 투자한 기관이 주가하락이 예상될 경우 1억 달러분의 금리를 변동금리조건으로 지급하고 주가하락분을 받는 계약을 맺을 수 있다.

예상대로 주가지수가 20% 떨어졌다고 가정하자. 이 기관은 설정한 기간분의 금리를 지급한다. 반면 보유주식 1억 달러에 주가하락률 20%를 곱한 2천만 달러를 받는다. 값이 떨어진 주식을 팔 수도 있지만 보유할 필요성이 있는 경우 주가하락에 따른 손실을 일정한 이자를 지급하고 피할 수 있게 된다. 변동폭이 상대적으로 큰 주식가치를 현수준으로 유지하는 대가로 적정이자를 지급한다는 개념으로 이해하면 된다. 거래대상금리는 국제금리의 대표격인 리보가 주로 활용된다. 거래대상은 증권회사나 은행이 되는 경우가 많다. 주식 스와프는 정형화된 형태의 거래소가 아닌 장외에서 거래된다. 거래기간 및 교환대상주식 또는 금리 등을 상대방과 협의해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 자산부채이전방식[Purchase & Assumptions, P&A]

    자산부채이전 방식. 타기업 전부나 일부를 인수할 때 부실채권을 제외한 우량 자산과 부채만 ...

  • 정상가격

    보증·피보증 기업 간의 신용등급 차이에 따른 가산이자율 차이

  • 주식예탁증서[depository receipt, DR]

    국내 기업이 외국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유상증자를 할 때 유통편의를 위해 발행주식을 예탁기관에...

  • 주택가격공시제도

    정부가 건물과 부속토지를 일체로 평가해 그 가격을 공시하는 제도이다. 종합부동산세 제도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