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기자본이익률

[return on equity, ROE]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서, 주주가 갖고 있는 지분에 대한 이익의 창출 정도를 나타낸다. 자기자본이 1,000원이고 당기순이익이 100원이라면 ROE는 10%가 된다. 쉽게 말해 주주들이 1,000원을 투자한 회사에서 100원을 벌었다는 의미다. 투자자 입장에서 보면 자기자본이익률(ROE)이 시중금리보다 높아야 투자자금의 조달비용을 초과하는 이익을 낼 수 있는 셈이다. ROE를 높이기 위해서는 수익성을 증가시키거나, 자산의 활동성(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또 같은 자산으로 사업을 하더라도 자기자본보다 부채가 많을수록 레버리지 효과로 인해 ROE가 높아진다. 그러나 부채를 많이 사용하면 회사가 부도를 낼 위험이 높아지게 되므로 부채비율이 높은 회사의 높은 ROE는 좋은 것이라고 말하기 어렵다. ROE가 비슷한 수준이더라도 회사별로 수익성, 자산의 활동성, 재무위험 등은 다르다.

관련어

  • 직접주문전용선[direct market access, DMA]

    증권사 딜러의 주문처리 작업을 거치지 않고 증권사 시스템을 통해 바로 한국거래소로 주문이 ...

  • 제너럴비전[General Vision, GV]

    미국의 인공지능(AI) 반도체인 뉴로모픽칩 설계업체. 미국의 인텔과 기술 라이선스 계약을 ...

  • 진앙[震央, seismic epicenter]

    지진이 실제 발생한 위치(진원)의 바로 상부에 해당하는 지표면을 말한다. 지진 발생시 피해...

  • 주주행동주의[shareholder activism]

    주주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