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주주행동주의

[shareholder activism]

주주들이 기업의 의사결정에 적극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하여 자신들의 이익을 추구하는 행위를 말한다. 배당금이나 시세차익에만 주력하던 관행에서 벗어나 부실 책임 추궁, 구조조정, 경영투명성 제고 등 경영에 적극 개입해 주주가치를 높이는 행위등이 이에 속한다. 한편, 주주행동주의자(shareholder activist)들은 이를 실천하는 사람들을 말한다.

2006년 등장한 라자드자산운용의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가 주주행동주의를 내세운 대표적인 펀드이다. 소위 ‘장하성 펀드’로 불리며 대한화섬, 한솔제지 등 지분을 매입해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했지만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한 채 청산됐다.

최근 주주행동주의 펀드가 다시 관심을 끄는 건 2017년 스튜어드십코드가 도입되면서다. 기관투자가의 의결권 행사 지침을 의미하는 스튜어드십코드는 단순한 의결권 행사를 넘어 기업과의 적극적인 대화를 통해 고객 수익률을 극대화하는 게 목적이다.

  • 자동현행동결

    Ratchet 한번 규제를 완화하면 다시는 예전 수준으로 되돌릴 수 없다는 ‘역진 방지 장...

  • 자동긴급제동장치[autonomous emergency braking, AEB]

    차량 전면부에 부착한 레이더가 위험을 감지하면 운전자에게 소리나 진동으로 보내 속도를 줄이...

  • 전세반환보증

    전세 계약이 끝났을 때 집주인이 세입자에게 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면 보증기관이 세입자에게 ...

  • 제로섬게임[zero-sum game]

    승자의 득점과 패자의 실점을 더하면 항상 제로(0)가 되는 게임을 뜻한다. 즉 승자의 이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