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자금사정지표

 

일반적으로 시중의 자금사정이 좋고 나쁨을 판단하기 위한 지표에는 채권수익률, 어음부도율, 요구불예금회전율 등이 있다. 금융기관의 자금사정이 좋지 않을 때는 보유 채권을 낮은 가격으로 매각하기 때문에 채권수익률이 단기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또한 어음부도율이 높을수록 시중 자금사정이 좋지 않음을 반영한다. 요구불예금회전율은 일정 기간중 요구불예금의 총지급액을 요구불예금의 평균 잔액으로 나누어 표시하므로 기업의 자금사정이 좋을 때는 낮고 나쁠 때는 높은 경향이 있다. 시중 자금사정은 모든 경제주체의 유동성 지표의 척도이며 일반적으로 기업과 금융기관의 자금 흐름을 의미하는데 국내의 경우 통화당국통화공급 목표가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

  • 재정승수[budget multiplier, fiscal multiplier]

    재정 정책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표로, 정부의 재정지출이 1단위 늘었을 때 국...

  • 직권상정

    국회에서 법안은 통상 소관 상임위원회에서 심의를 마친뒤 법제사법위원회를 거쳐 본회의 의결 ...

  • 중도환매통화채

    일정 기간만 보유하면 만기가 되기 전이라도 한은이 현금으로 되사는(중도환매) 통화채를 뜻한...

  • 점오염원[Point Source Pollution]

    생활하수나 공장폐수, 축산폐수처럼 특정한 지점 또는 비교적 좁은 지역 안에서 발생하는 배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