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사전

죄수의 딜레마

[prisoners' dilemma]

자신만의 이익을 위한 선택이 자신과 상대 모두에게 불리한 결과를 낳는 상황을 뜻한다.

두 공범자가 협력해 범죄사실을 숨기면 증거불충분으로 형량이 낮아지지만 범죄사실을 먼저 자백하면 다른 한쪽보다 가벼운 처벌을 받게 해준다는 수사관의 유혹에 빠져 어느 한쪽이 범죄사실을 털어놓으면 결국 공범자 모두 더 큰 처벌을 받는다는 이론이다.

서로 믿고 협력하면 모두에게 이득이지만,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려 동료를 배신하면 모두에게 불행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게임이론(theory of games)의 대표적인 예다.

게임이론은 1944년 폰 노이만과 오스카 모르겐슈테른에 의해 처음 주창된 것으로, 군사학은 물론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 제조업 재고율

    계절조정 재고지수를 계절조정 출하지수로 나눠 구하며 비율이 높을수록 재고가 많다는 것을 뜻...

  • 지분금융[equity financing]

    부채금융과 반대로 기업에서 주식과 같은 소유지분을 매각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것.

  • 잔액인수[stand-by underwriting]

    주식이나 채권발행을 하려는 기업은 주관사와 인수단에 발행을 위탁하고 주간사 회사는 이들 증...

  • 정부 3.0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소유한 공공정보를 개방하고 공유하며 부처간의 소통ㆍ협력 등을 통해 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