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분리
계열사를 거느린 대기업그룹이 개별 계열회사를 따로 떼어내는 과정을 일컫는 말이다. 계열분리 수단으로는 일반적으로 대출금을 출자로 전환하거나 계열사에 대한 지분을 팔도록 하는 등의 조치가 취해진다. 따라서 대출금 출자전환 후 합작파트너를 구하지 못하거나 매각이 안 되면 채권단이 대주주가 되도록 하는 등 채권단인 각 계열사의 주거래은행이 전면에 나서게 된다. 일단 그룹과 분리된 계열사는 전문경영인이 경영을 주도하는 것이 원칙이다. 계열분리를 통해 부실사와 우량사가 구분되면 자산부채관계가 명백해지므로 매각을 통한 구조조정이나 자금지원 등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위장계열분리는 형식상 계열분리가 됐어도 이면계약을 통해 기존 대기업이 분리된 계열사의 경영권에 간여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
국채[government bonds]
국채는 정부가 공공 목적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하고자 발행하는 채권이다. 원리금 지급을 정부...
- 기계투자효율[gross value added to machinery]
-
공무원 민간근무휴직제
민·관 인사교류를 통해 공무원 사회에 민간기업의 경영기법과 업무 수행 방법 등을 도입하기 ...
-
김수키[Kimsuky]
2012년 북한이 한국과 미국 등에 대한 사이버 공격을 위해 만든 해킹 조직으로 정찰총국 ...